'시스템 엔지니어링'에 해당되는 글 17건

  1. 2021.07.16 HTTP, HTTPS 차이
  2. 2021.07.14 HTTP 상태 코드
  3. 2021.07.14 IP, IP address, DNS, 네트워크 클래스
  4. 2021.07.14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5. 2021.07.14 서브넷(Subnet), 서브넷 마스크
  6. 2021.07.12 CDN, VPN
  7. 2021.07.12 Port, Gateway
  8. 2021.07.12 TCP, IP, UDP
  9. 2021.07.09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10. 2021.07.09 마이크로서비스
  11. 2021.07.08 CRC(cyclic redundancy check)
  12. 2021.07.02 쿠키(cookie), 세션(session)
  13. 2021.07.02 Serverless(서버리스)
  14. 2021.07.02 프로비저닝(provisioning)
  15. 2021.06.30 웹의 동작 방식

HTTP, HTTPS 차이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6. 10:38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

 

HTTPS = HTTP + Secure

SSL(보안 소켓 계층)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연결, 데이터 도난을 방지 함.

TLS(전송 계층 보안)을 통해서도 보안을 제공하는데

데이터의 무결성 제공, 데이터 전송 중 수정, 손상을 방지, 사용자가 자신이 의도하는 웹사이트와 통신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인증기능도 제공하고 있음.

 

SSL인증서

사용자가 사이트에 제공하는 데이터를 암호화.

 

HTTPS의 장점.

보안

검색엔진 최적화(SEO) - 검색엔진에서 노출 확률을 높임

가속화된 모바일 페이지(AMP, Accelerated Mobile Pages) - 구글에서 만든 모바일에서 콘텐츠 로딩 최적화 방법

 

 

http://blog.wishket.com/http-vs-https-%EC%B0%A8%EC%9D%B4-%EC%95%8C%EB%A9%B4-%EC%82%AC%EC%9D%B4%ED%8A%B8%EC%9D%98-%EB%A0%88%EB%B2%A8%EC%9D%B4-%EB%B3%B4%EC%9D%B8%EB%8B%A4/

 

HTTP vs HTTPS 차이, 알면 사이트의 레벨이 보인다. - Wishket

여러분의 사이트, HTTP로 시작하나요 아니면 HTTPS로 시작하나요? HTTPS로 전환하는것이 그렇게 중요한 일일까요? 위시켓과 HTTP vs HTTPS 차이에 대해 알아보세요!

blog.wishket.com

 

 

:

HTTP 상태 코드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4. 15:38

 

 

1xx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2xx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하였다
3xx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
4xx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
5xx (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HTTP_%EC%83%81%ED%83%9C_%EC%BD%94%EB%93%9C

 

HTTP 상태 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는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응답 상태 코드의 목록이다. IANA가 현재 공식 HTTP 상태 코드 레지스트리를 관리하고 있다. 모든 HTTP 응답 코드는 5개의 클래스(분류)로 구분된다. 상태 코

ko.wikipedia.org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HTTP 상태 코드 - HTTP | MDN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 응답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 성공적인 응답, 리다이렉트, 클라이언트 에러, 그리고

developer.mozilla.org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

https://sanghaklee.tistory.com/61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TOC Introduction HTTP 와 REST HTTP Status Code 2XX Success 4...

sanghaklee.tistory.com

감사합니다.

 

 

:

IP, IP address, DNS, 네트워크 클래스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4. 11:52

IP =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 Internet Protocol address
둘은 다르다.

IP 할당
고정된 IP 주소 할당받거나
DHCP를 이용하여 동적 IP 주소 할당

IPv4
32비트 0~255의 10진수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IP 주소
0.0.0.0 ~ 255.255.255.255
예약번호 주소 있음 ( 예: 127.0.0.1은 localhost(로컬 호스트) )

IPv6
주소 길이를 128비트로 늘린 것.
두자리 16진수 8개를 사용하고 : 기호로 구분.

https://ko.wikipedia.org/wiki/IP_%EC%A3%BC%EC%86%8C

 

IP 주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P 주소(영어: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표준어: 인터넷규약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만약 서버가 들어가지 않

ko.wikipedia.org

 

 




DNS(Domain Name System)
IP주소의 접근 편의성을 위해 IP주소마다 이름을 지정한다.
네트워크 계의 전화번호부.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B%A9%94%EC%9D%B8_%EB%84%A4%EC%9E%84_%EC%8B%9C%EC%8A%A4%ED%85%9C

 

도메인 네임 시스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은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ko.wikipedia.org

 

 

네트워크 클래스

https://ko.wikipedia.org/wiki/%EB%84%A4%ED%8A%B8%EC%9B%8C%ED%81%AC_%ED%81%B4%EB%9E%98%EC%8A%A4

 

네트워크 클래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2년 프로토타입 인터넷 지도 네트워크 클래스는 IPv4에서 IP 주소의 첫 번째 구조 변화를 나타낸다. 클래스 도입 이전[편집] 원래 32비트 IPv4 주소는 호스트가 연결되어있는 특정 네트워크를 가

ko.wikipedia.org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4. 11:40
:

서브넷(Subnet), 서브넷 마스크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4. 05:39

:

CDN, VPN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2. 11:03

:

Port, Gateway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2. 00:30

Port

TCP나 UDP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상호구분을 위해서 사용하는 번호.
하나의 IP에서 제공되는 여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로.

WWW URL은 기본적으로 80번 포트 사용.
브라우저에서 접속 시 80번 포트를 통해 접속함.

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8A%B8_(%EC%BB%B4%ED%93%A8%ED%84%B0_%EB%84%A4%ED%8A%B8%EC%9B%8C%ED%82%B9) 

 

포트 (컴퓨터 네트워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

ko.wikipedia.org

 

https://aws-hyoh.tistory.com/entry/Port-%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category=767420 

 

Port 쉽게 이해하기

항구(港口, port)는 자연 지형이나 인공 구조물로 풍랑을 방지하고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는 곳으로, 수륙 교통의 결절점(結節點) 기능을 갖는 장소·시설을 말한다. -출처 : 위키백과- '항'

aws-hyoh.tistory.com

 

 

Gateway

OSI 7 Layer 중 전송(Transport)계층에 해당.
서로 다른 프로토콜끼리도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해주는 기기.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주는 역할.

예)
랜이나 무선 랜을 인터넷이나 다른 원거리 통신망에 연결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
인터넷 공유기.
이동통신 장비와 인터넷 간의 게이트웨이.

https://ko.wikipedia.org/wiki/%EA%B2%8C%EC%9D%B4%ED%8A%B8%EC%9B%A8%EC%9D%B4

 

게이트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게이트웨이(gateway, 문화어: 망관문)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 즉 다른 네

ko.wikipedia.org

 

 

:

TCP, IP, UDP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12. 00:12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9. 06:16

네트워크에서 공통의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소프트웨어 설계 유형.
재사용, 캡슐화.
느슨한 결합.
유지관리 용이.
확장성.
안정성.

SOA와 마이크로서비스의 차이
SOA
- 전사적인 접근
- ESB

마이크로서비스
- 애플리케이션 개발 팀 내의 구현 전략
- 언어 제약 없는 API로 스테이트리스(stateless) 방식으로 통신

:

마이크로서비스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9. 06:10
:

CRC(cyclic redundancy check)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8. 19:26

순환중복검사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값을 결정하는 방식

https://ko.m.wikipedia.org/wiki/%EC%88%9C%ED%99%98_%EC%A4%91%EB%B3%B5_%EA%B2%80%EC%82%AC

순환 중복 검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m.wikipedia.org


:

쿠키(cookie), 세션(session)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2. 09:41

HTTP프로토콜의 비연결성(Connectionless), 비상태성(Stateless)을 보완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조각.
HTTP 프로토콜에서 사용자 상태 정보를 기억.

 

쿠키 동작
1.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데이터 요청
2. 서버에서 웹 페이지 데이터와 쿠키 전달
3.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데이터 및 쿠키 저장
4. 동일 서버에 재 요청 시 저장된 쿠키를 함꼐 전달
5. 서버에서 쿠키가 동일한 브라우저에서 들어왔는지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함께 전달해줌

 


쿠키 사용 목적
세션관리
개인화
트래킹(Tracking)

 

단점

보안..

하이재킹..

사용자가 쿠키 거부시 상태 정보 저장이 어려움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Cookies

 

HTTP 쿠키 - HTTP | MDN

HTTP 쿠키(웹 쿠키, 브라우저 쿠키)는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입니다. 브라우저는 그 데이터 조각들을 저장해 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 재 요청 시 저장된 데

developer.mozilla.org

 

 

쿠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세션(Session)

사용자와 서버의 연결 상태

서버에 클라이언트 상태정보를 저장

 

https://jeong-pro.tistory.com/80

https://devuna.tistory.com/23

 

 

 

:

Serverless(서버리스)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2. 06:11

서버가 없는게 아님.
클라우드에 관리를 위임.
기본 인프라나 인스턴스 관리가 필요 없음.


예)
AWS Lamda

: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7. 2. 04:16
:

웹의 동작 방식

시스템 엔지니어링 2021. 6. 30. 21:34
: